티스토리 뷰
좋은 일자리와 소득 및 자산, 인간관계 대한 소망은 보통 청년들 못지않게 강한 것으로 조사된 고립 · 은둔청년은
자발적으로 세상과 단절을 택하고 있습니다. 실태조사를 통해 알아보면 전국 기준 24만 4148명에 이르고 있다고 합니다
그 원인은 취업 실패가 35%로 가장 많았고, 인간관계의 어려움이 10%, 학업 중단 7.9% 등으로 조사되었습니다
이에 청년몽땅정보통에 관련된 지원사업이 있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
지원 서비스
고립 · 은둔청년 맞춤상담 및 마음건강 정책 연계 지원
정서건강/ 관계건강 프로그램, 활동형 프로그램(예술, 운동, 취미, 원예 등)
진로탐색/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, 일 경험 프로그램
공동생활 프로그램(소규모 인원), 부모 교육 및 자조모음(하반기 예정)
은둔·청년 지원사업이란?
고립은둔 상황에 처해있는 청년들이 삶의 활력과 동기를 얻어, 사회로 안전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
심리상담 및 맞춤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
지원대상
●서울 거주 만19~ 39세 고립은둔청년 및 가족
●고립과 은둔의 기준은 무엇인가요?
1) 고립청년은 다음의 2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한 자로 정의
①현재 정서적 또는 물리적 고립 상태에 놓인 자로 다음의 조건 중 한 가지 이상 해당되는 경우
- 정서적 고립 (도움을 구할 수 있는 사람이 전혀 없음)
· 중요하거나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조언을 구할 수 있는 사람
· 급한 일이 있을 때, 부탁할 수 있는 사람
· 개인적으로 돈을 빌려야 할 때,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
·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속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
- 물리적 고립 (가족/친척 외 사람들과 대면교류가 1년에 한두 번 이하 또는 전혀 없음)
· 친한 친구나 친한 사람과의 대면교류
· 이외 직장, 학교, 동내에서 알고 지내는 사람들과 대면교류(업무상 교류 제외)
· 고립 상태가 최소 6 개월 이상 유지
2) 은둔청년은 다음의 3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한 자로 정의
① 현재 외출이 거의 없으며, 본인의 방 또는 집 안에서만 생활하는 자
· 보통은 집에 있지만, 자신의 위미생활만을 위해 외출함
· 보통은 집에 있지만, 인근 편의점 등에는 외출함
· 자기 방에서 나오지만, 집 밖으로는 나가지 않음
· 자기 방에서 거의 나오지 않음
② 은둔 상태가 최소 6개월 이상 유지
③ 지난 1주일간 경제활동이 없었고, 1개월 이내에 구직활동 및 학업을 전혀 하지 않았음
문의전화
수행기관 ☎ 02-6953-2520
'국가지원사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소상공인 희망리턴 패키지 신청 (0) | 2023.08.24 |
---|---|
2023년 소상공인정책자금(국가지원) 신청 (0) | 2023.08.16 |
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금 (국가바우처사업) (0) | 2023.08.09 |
2023 청년 전세보증금반환보증 (0) | 2023.08.07 |
2023년 상반기 서울시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 (0) | 2023.08.07 |